티스토리 뷰
사회보장제도는 국민을 사회적 위험과 빈곤해소, 국민 생활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한 제도로 사회보험에는 공적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가 있죠 이번시간에는 국민연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은 일종의 사회보험의 종류 중 하나이고 보험원리에 따라 운영되는데요 가입자, 사용자로부터 정률의 보험료를 받고, 이를 재원으로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소득이 중단되거나 상실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게 다양한 급여를 제공하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제도를 통해 제공되는 급여에는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노령연금, 주 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유족연금,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장애연금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을 돕고 있습니다
그럼 먼저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나이
노령연금은 가입기간, 연령, 소득활동 유무에 따라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이 있으며, 이혼한 배우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분할연금이 있습니다. 단 10년이상 국민연금을 납부하여야 한다52년생과 69년 이후 출생한 사람들 간 연금 수령 나이가 다르다.
지금부터 국민연금 납부액조회를 해보겠습니다. 먼저 네이버에 국민연금관리공단을 검색해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결과가 검색 될 거예요 그럼 국민연금공단으로 가서 진행해보겠습니다
www.nps.or.kr/jsppage/main.jsp
국민연금공단
www.nps.or.kr
내 연금 노후준비를 클릭하면 내가 지금까지 얼마를 납부했는지 국민연금 납부액조회를 알 수 있습니다.
창이 뜨는데 빨간 체크 표시 한 부분을 누르면 됩니다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라고 창이 하나 뜨네요 확인 버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주민등록 번호 박스에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클릭하면 공인인증서 창이 뜬다
본인 인증서에 맞는 걸로 클릭 비번을 입력하고 클릭하면 접속이 됩니다.
왼쪽 부분에 국민연금 알아보기 카테고리에서 예상연금 조회와 가입내역조회(납부내역)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장애유족예상연금조회 예상연금 모의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